Monthly Archives: September 2007

FormFactor loses its patents in Korea

The Supreme Court of Korea affirmed the lower court’s decision invalidating FormFactor’s patents, thereby allowing defendant Phicom to continue to use the technology. 파이컴, 반도체 특허소송 美업체에 승소 < 최신기사 < 산업 :: 한경닷컴 ::

I haven’t gotten my paws on the decision, so I will have to wait for several days before I can post my thought on that.

Some view this decision as nationalistic or at least an evidence of loose IPR protection in Korea. Patent Dispute Not True to FormFactor

This seemingly widespread perception of Korea’s not-quite-so-neat IPR protection system is resonating with what I read from bloggers about Starbucks v. StarPreya case. I won’t argue the perception is unfounded. Perception is perception and it’s not a fact. It’s an accumulation of impression from small bits of information. I find it fair for foreigners to think that the Korean legal system is not as hospitable for foreginers as it is for its nationals. I myself am sometimes horrified at Koreans’ extreme nationalistic behaviors as shown in the World Cup 2002, Dr. Hwang’s stem cell research scandal, and the most recent Director Shim Hyung Rae’s D-War movie syndrome. But, as I wrote in the Starbucks v. StarPreya post, I’m not hundred percent convinced that the judges’ decisions are nationalistically biased. When I come by the FormFactor decision, I might try to read between the lines and catch whethe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as swayed by the sentiment of protecting OUR companies from the FOREIGN PREDATORS.

This case may also serve as another material for proving or disproving the perception that Korean courts are lenient towards small and medium companies when it comes to the battle between SMEs and big corps. This has been raised by Dram man in his comment on my iPhone Unlocking. I’m sure this is another widespread perception among foreign lawyers, foreign investors, and foreigners in general.

Another spin in this case is the US government’s effort to influence the decision. I heard from a source that the U.S. gov’t delivered messages through diplomatic channel. One can easily guess what the messages might have been. US industry’s negative perception about a foreign country’s legal system is one thing, US gov’t sending diplomatic messages to influence court’s decision is another. It reveals the attitude the US gov’t is taking in dealing with matters like this.

Powered by ScribeFire.

Technorati Tags: , ,

Tagged , , ,

SCVs of internet media step up

온신협등 6단체, 뉴스·콘텐츠 유통질서 바로잡는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It has been for years that the Korean internet portals (Naver.com, Daum.net, Nate.com, to name a few) have outpowered newspaper companies in the Korean internet news provision market.  Newspaper companies are mere small subcontractors for the internet portals. 

It was reported (somewhere) that the internet portals buy all news articles from each newspaper company on a yearly bulk purchase basis.  The internet portals pick and choose from the bulk news articles that are best selling to the internet readers. 

Those who read news articles mainly from internet portals appear to prefer scandalous and sensational pieces of junky news.  Yeah, yellow journalism again.  This triggered a vicious circle of competition to the ground.

The vicious circle may not be as big a problem for news “paper” companies as it is for independent internet news companies. Independent internet news companies rely solely on internet advertising and royalties from selling their articles.  Stats show that internet news companies’ exposure rely heavily on how many of their articles were picked by portals and displayed on the main pages of the portal sites. Their major revenue stream hangs on the fingertip of portals. 

So, as the linked article says, internet reporters and internet news companies made an association, named News Contents Copyright Holders Association.

As much as the problems they raise are about copyright law, are they  about anti-trust and unfair competition. 

I haven’t seen an agreement between internet portals and newspaper companies.  But, I wouldn’t be surprised to read a fairly one-sided contract in favor of the internet portals.  The Korean FTC will step in if the Association petition for adjudication.  Before that, what can be done by the news companies and reporters?

I think the power structures in many industries in Korea, especially the internet, media, and entertainment, have dramatically changed for the last decade, cracking sound of which are only being recently heard. 

Powered by ScribeFire.

Tagged

Deezer.com formerly known as blogmusik.net

One of the ideas revolving around blogging platforms is an embedded music player.  A music player embedded in a blog lets visitors listen to the music from the stream it is delivering.  An instant question from a copyright-sensitive person would be, “is it legal?”  Press release from deezer.com, formerly known as blogmusik.net, seems to say, “No, unless you make a license agreement with the copyright holders or their agents.”

According to the press release, Deezer.com made copyright royalty agreements with SACEM (Society for th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Royalties, France) and SESAM (Society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France).  The company is said to be in talks with music labels and SPPF (Society for the Management of Independent Producers’ Rights, France).

Problems solved by these agreements.  Legally, that is.

Financially, Deezer.com says SACEM and Deezer.com succeeded in offering “Internet users a non-paying solution whilst still remunerating those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e music (artists, record companies, etc.) though the advertising revenues generated.  I’ve been a skeptic of operating a company with advertising revenue.  We will see whether the embedded players will keep playing.

Drama productions v Broadcasting companies

Drama market in Korea is big.  That’s for sure.  Example) The overall cost of production for Tae Wang Sa Shin Gi (태왕사신기) is said to be about 40 billion won (somewhere around $40 million).   Tae Wang Sa Shin Gi was made by Kim Jong Hak Production, a producing company lead by former MBC drama director.

And it seems that there is an association of drama producing companies, which is the Drama Producer Association (of Korea).  Major members include Kim Jong Hak Production (김종학프로덕션), Cho Rok Baem Media (초록뱀미디어), Sam Hwa Networks (삼화네트웍스).  They had a press conference today and pledged for fair contractual relationship with broadcasting companies.  News Article here.

Drama producers are in weak bargaining position against broadcasting companies.  Broadcasting companies have allegedly used their leverage to draft allegedly unfair contract with producing companies.

For example, producers start shooting dramas after getting 40 to 60% of the contracted price.  In return for the contract, broadcasting companies have the copyrights, rights on derivative works, transmission rights, reproduction right, and all sales rights on all types of copyrighted works in and about the drama.  Plus, after 3 years from the production, the broadcasting companies take all the rights.  Hence, the producers get nothing after 3 years.

The Drama Producer Association claims that the more drama they make, the more money they lose.  If this is true, it can be a trust and an unfair practices.  (I’m not sure why they have to keep making dramas while they lose money from it.)

I haven’t had a chance to look at the broadcasting company-producer contract in Korea.  But I won’t be surprised to face a severely one-sided  contract.

As a no-TV-in-my-room guy, I don’t care too much about whether the drama productions go bankrupt and I might never see a drama produced by a Korean.  But, I’m very interested in unfair practices.  We will see whether this press conference moves the rock an inch.

DualCor sues Intel over ‘dual core’

DualCor Technology라는 회사가 Intel의 ‘dual core’라는 브랜드 사용이 자기네 상표권 위반이라며 손해배상 및 사용금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고 한다. 관련기사

dualcor는 미국특허상표청(USPTO)에 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Word Mark DUALCOR
Goods and Services IC 009. US 021 023 026 036 038. G & S: Computers; mobile computers; mobile communicators, namely, mobile data receivers; wireless computers; wireless communicators, namely, wireless telephones; cellular communicators, namely, cellular telephones; multimedia communicators, namely,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ireless computer peripherals;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for use in communication management, e-mail communications, database management, for use as a spreadsheet, word processor, presentation and other productivity and web applications; and wireless access points, namely, LAN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for connecting network computer users. FIRST USE: 20031212. FIRST USE IN COMMERCE: 20051201
Standard Characters Claimed  
Mark Drawing Code (4) STANDARD CHARACTER MARK
Serial Number 78419233
Filing Date May 14, 2004
Current Filing Basis 1A
Original Filing Basis 1B
Published for Opposition September 13, 2005
Registration Number 3121648
Registration Date July 25, 2006
Owner (REGISTRANT) Dualcor Technologies, Inc. CORPORATION CALIFORNIA Two Embarcadero Center Suite 200 San Francisco CALIFORNIA 94111
Attorney of Record David C. Ashby
Type of Mark TRADEMARK
Register PRINCIPAL
Live/Dead Indicator LIVE

2가지 큰 이슈가 있겠다.

첫째는, dual core라는 단어 조합이 보통의 이름(generic name)인가 하는 것이다. dual core가 core가 2개 있으니까 dual core라고 부르는 것이 당연하다고 인텔이 주장할 테고, 어느 정도는 타당하다. double core라고 하지 않고 dual core라고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나? CPU 업계에서 dual core라고 부르는 것이 관행이었다면 그런 사실이 중요한 증거가 될 것이다.

둘째는, dualcor와 dual core의 유사성 여부다. ‘e’ 한 자만 다르고 나머지는 다 같으니까 유사하다고 볼 여지는 충분하다. 하지만 dualcor는 한 단어로 붙여 쓰면서 dual core와는 좀 다르게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끝말.

Dual Core도 상표등록 되어 있는데, 이는 24, 42, 50류에 대해서만 등록이 되어 있다. (‘류’ Nice 협약에 따른 상표등록을 위한 상품분류 class이다.) Dual-Core도 등록이 되어 있는데, 이건 9, 13류에 대해서만 등록이 되어 있다. 인텔은 dual core를 브랜드로 쓸 때, 사전 조사를 했을테고 dual core와 dual-core가 상품 분류가 CPU와 다르므로 안심을 했을 것이다. 그런데 dualcor가 불쑥 나타났다. dual을 포함한 모든 단어를 다 검색해보면 꽤 많은 등록상표가 나온다. 이런 위험을 무릅쓰고 그냥 쓴 건가?

Tagged

Movie Downloading in 2007

I got to hear the name ‘Movie People’s Association for the Prevention of Illegal Copy’ from a news article. According to the news, the Association sent letters to major internet portals and specialized file sharing sites and UCC companies requesting cease of copyright infringement.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received the letters were reported to be 90, 74 of which replied and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cooperate. However, only 3 of the 74 who replied immediately stopped service or took down their sites.

One,

More than one companies stopped services or shut their websites down. Very interesting. I wonder who they are.

Second,

The news mentions the 2007 Copyright Act that requires technical measures preventing illegal copying. I have no data on how many websites or internet services have actually implemented technical measures after the new Copyright Act went into force (July 2007). The news says illegal copies of music can still be downloaded from the websites or services equipped with the technical measures.

Third,

The Association’s effort for resolving the issue by exchanging letters with the internet industry is only one facet of the picture. There have been police investigations on illegal downloading with the assistance of the internet access providers (KT, Hanaro, LG Powercom). An anonymous user of parkoz.com (hardware review site) was reported to be subpoenaed by police and had to pay 700,000 won fine for illegal downloading. The original post was deleted from parkoz.com and only copies of the post can be found on several blogs including here. No detail has been told, who requested police investigation or how many people were subpoenaed, etc. The copyright holders aren’t just sitting there with arms folded. That’s what I know now.

Fourth,

The law firm of Yoon Yang Kim Shin & Yu (better known as Hwa Woo in Korea) represents the Association. YYKSY is one of the top 5 law firms in Korea. The name alone delivers certain message to the internet industry.

Fifth,

I still don’t know who these ‘Movie People’s Association’ are. Movie people (영화인 in Korean) is a generic concept that comprises all kinds of people who are IN THE MOVIE INDUSTRY. They might be producers, directors, actors, staff, or even choreographers or artists. Who have the most stake in preventing illegal movie copies?

Tagged

인터넷 변호사의 역할

1. 인터넷 변호사란 말은 정착된 용어가 아니다. Internet Law란 말은 정착되지는 않았지만 널리 쓰인다. Internet에만 국한된 법이 있는 게 아니고, 상표법, 저작권법, First Amendment, Privacy, 그외 각종 자잘한 법들이 Internet에서의 활동들에 관련이 되므로 이들 법 중에서 Internet에 관련된 부분만을 모아서 Internet Law라고 말한다. 그리고 Internet Law를 주로 맡는 변호사를 Internet Lawyer라 한다 해서 심하게 문제가 있지는 않다.

2. Web 2.0이 대세가 되고 나서 새로 생겨나는 사이트들이 엄청나게 많다. 일일이 어떤 사이트가 생겨나는지를 확인하기가 힘들 정도다. 나는 낮에 풀타임으로 일하는 직장이 있기 때문에 저녁이나 주말에 그런 트렌드들을 관찰해야 하는데,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도 쉽지 않다.

3. 대부분의 새로운 사이트들은 엄밀한 법적인 검토를 하지 않은 채 서비스를 시작한다. 그럴 비용이면 서버 한 대를 더 사고 만다. 사실 돈이 충분하지가 않아서 변호사를 구하지 못한다.

4. 어떤 사람이 그랬는데, 기억에는 다국적 로펌의 고위급 변호사였던 듯, 변호사는 옵션 브로커가 되어가고 있다. 그가 말한 옵션은 금융시장에서 말하는 옵션은 아니다. 말 그대로 선택사항이다. 비즈니스를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초이스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결정자가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옵션을 가공해서 보여주는 사람이 변호사라는 말이다. 이 말은 Internet Law에서는 제대로 들어맞는 말이다. 인터넷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은 사이트 개발의 매단계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물론 다른 비즈니스들도 그러하다) 그 순간순간의 선택에서 저작권, 상표권, unfair practices 등의 법률 적용이 어떻게 되는지를 아는 것은 결정에 큰 도움이 된다. 인터넷 비즈니스 환경에서 ‘옵션 브로커’의 역할은 중요하다.

5. 변호사 윤리 위반이 되는지 확실하게 모르겠는데, ‘옵션 브로커’로서 변호사가 개척할 수 있는 비즈니스 영역이 하나 생각이 났다. 어떤 인터넷 회사가 서비스를 개발할 때 그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소송에 휘말리게 될 확률은 얼마가 될까를 계산해주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rough하게 생각해놓은 게 있긴 한데, 그게 실제로 얼마나 맞을지는 모르겠다. 이 비즈니스 모델의 문제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와 같은 딜레마이다. 소송당할 확률이 높다는 예측이 맞으면 회사는 소송당하지 않게 서비스의 구조를 변경하게 되니 소송을 당하지 않게 되므로 예측이 틀리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소송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되면 회사는 법적 안전장치 마련에 소홀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서 되려 소송을 당하게 되어 결국 예측이 틀리게 된다. (이건 회사의 서비스 구조가 피드백을 반영하여 계속 바뀐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즉, 예측 모델의 검증이 아주 어려워진다는 점이 이 비즈니스 모델의 문제이다. 다만, 제3자의 유사한 웹사이트가 법적인 문제에 시달리게 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인 검증은 되긴 할 것이다.

iPhone Unlocking

(오랫만에 한글로 포스팅)

한국에서는 iPhone을 쓸 수 없다. iPhone이 GSM 방식으로만 만들어져서 CDMA 방식으로 휴대전화망이 구축되어 있는 한국에서는 통화 자체가 안 되기 때문이다. (혹시 틀렸다면 지적 부탁)

근데 미국이라고 iPhone을 맘대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T&T망으로만 이용할 수 있게 Apple이 AT&T와 계약을 맺어서 iPhone은 AT&T망으로만 이용가능하다. (근데 AT&T가 T-Mobile에 인수되었나? 미국에서 돌아온 후에 휴대전화 시장에 좀 변화가 있었다는데 정확하게 follow up이 안 되고 있음)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2년 정도의 계약기간을 약정하고 휴대전화를 구입하게 된다. 그 계약에 따르면 특정 휴대전화 회사를 계약기간만큼 이용해야 한다. 그 대가로 휴대전화를 싼값에 구하게 된다. Cingular나 Verizon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상당수가 되는데, 이들은 iPhone을 이용할 수 없다.

Inquisitive mind를 가진 미국인들은 iPhone을 Cingular(이게 합병되었나?)나 Verizon에 쓰고 싶어한다. 한국도 좀 있으면 USIM 카드가 도입된다는데, 미국은 오래 전부터 USIM 카드가 도입되어서 USIM만 바꾸면 휴대전화 기기는 아주 쉽게 기변할 수 있다. 그런데 iPhone은 안 된다는 것이다. 아마 USIM 카드를 안 쓰거나, USIM 카드를 쓰더라도 AT&T 망에서만 작동되는 USIM 카드를 쓰거나 하겠지. iPhone을 만져본 적도 없으니 정확하게 분석을 못하겠다. 또한 iPhone내에 프로그램을 심어서 iPhone을 다른 휴대전화 망에서 이용못하도록 해놓은 모양이다.

Inquisitive minds들은 iPhone의 내장 소프트웨어를 건드린 것 같다. reverse engineering 등의 방법을 썼겠지. 하드웨어를 건드렸냐 아니면 소프트웨어를 건드렸냐에 따라서 그 법률적 효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하드웨어를 건드리는 경우는 mods라 해서 게임 콘솔 해킹에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P/S 시리즈나 Xbox시리즈 등은 mods의 유혹이 강하게 느껴지는 기계들 아닌가? Xbox 360은 하드웨어 성능도 상당한 것 같고.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이전에 xbox mods에 대한 포스트에서 잠시 다룬 적이 있고, 소프트웨어를 건드리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다룬 적이 없다.

여기에 대해 상당히 흥미로운 미국 저작권청 견해가 발표되었는데, 2006년 견해이니까 좀 된 거긴 하다.

간단히 요약하면, phone unlocking (이거가 업계에서는 일상적으로 쓰이는 말이 되었는데)은 DMCA상의 circumvention (17 U.S.C. 1201(a))이 아니고 거기서 exempt되는 것이다. 이거는 법논리적인 결론이 아니고 public poilcy에 근거한 판단이다. 언제든지 법원에서 뒤집힐 수 있는 견해이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법원까지 가지는 않을 것 같다. 그래서 여기서 멈출 것 같다.

참! 근데 여기서 끝난 것은 아니다. 이건 phone unlocking이 소프트웨어를 건드렸을 때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것일 뿐이다. 그럼 다른 게 뭐가 있냐고? 가장 직접적인 건 계약 위반이다. iPhone을 구입하고 AT&T와 2년 약정을 맺었을 때 계약서를 썼을 것이다. 그 계약의 내용을 들여다 봐야 한다. 그 계약의 문구를 위반한 것이라면? phone unlocking한 사람 입장에서는 그 계약서 중에 phone unlocking을 금지하는 조항이 불법이라는 걸 증명하려 할테지.

이와는 별도로, phone unlocking한 사람이 상업적으로 phone unlocking을 해서 팔았을 때에는 trademark 문제도 생기고, unfair practice 문제도 걸리고 하면서 법적인 문제가 그야말로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간단히 요약하자면서 간단히 안 되는 건데, 우선 개인 사용 목적으로 phone unlocking 하면 저작권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계약 위반의 가능성이 남아 있다. 특허 침해의 가능성은 낮다.

상업적 목적으로 phone unlocking했다면, 저작권 문제는 개인의 경우보다는 조금더 문제가 커질 수 있다. 계약 위반의 가능성은 여전히 있고, 상표 침해와 특허 침해의 가능성이 있다. 거기다가 Apple와 AT&T에서는 (Apple보다는 AT&T가 더 민감하게 대응할 것인데) unfair practices니 하는 것들을 들고 나와서 복잡하게 만들 것이다.

그쯤 진행되면 정말 총알(돈) 싸움이 된다.

그리고, 깊이 있게 분석해보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다면 지적은 언제든 환영.

Tagged